스티븐 킹이 사랑하는 야구팀

뉴스 2007. 10. 14. 22:43 posted by 조재형

☞ 스티븐 킹은 메이저리그 보스턴 레드삭스 팀의 열렬한 팬입니다.
킹이 10월 5일에 뉴욕 양키스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 맞붙은 야구 경기를 관전했습니다.

킹이 입은 티셔츠의 등에는 다음과 같은 짧은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나는 두 팀을 응원한다. 보스턴 레드삭스 팀. 그리고 뉴욕 양키스를 쳐부수는 팀이면 아무나."

뉴욕과 클리블랜드가 맞붙은 이 날 경기에서 스티븐 킹이 어느 팀을 응원했는지는 말이 필요없겠죠.

2007년 레드삭스 팀의 상태에 대한 질문을 받자 킹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레드삭스는 정말 강력한 거 같아요. 투수진도 좋고, 타자들도 좋고, 딱 알맞는 시기에 기량이 절정에 달해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구와 독서를 동시에 하는 스티븐 킹

스티븐 킹의 새로운 단편집

뉴스 2007. 10. 13. 21:56 posted by 조재형
스티븐 킹 공식사이트의 게시판에 킹의 새로운 단편집이 나올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이 올라오자 사이트 운영자(스티븐 킹 비서)가 다음과 같이 답변했습니다.

스티븐 킹의 새로운 단편집 출간은 이미 출판 계획이 잡혀 있습니다. 마침내 단편집 하나를 채우기에 충분할만큼 많은 신작 단편소설들이 모아졌거든요. 단편집 제목은(적어도 현재로서는) "Pocket Rockets"입니다... 어떤 단편들이 수록될 것인지 제가 맘대로 누설할 수는 없지만,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티븐 킹 5문 5답

뉴스 2007. 10. 11. 23:03 posted by 조재형

☞ 스티븐 킹이 초청 편집자로 참여한 "미국 단편소설 걸작선 2007년판(Best American Short Stories 2007)"이 미국에서 10월에 출간되는 것을 계기로 "유에스에이 투데이" 신문이 킹한테 단편소설에 관한 5가지 질문을 던졌고 킹이 답변했습니다.

1. "미국 단편소설 걸작선"에 들어갈 단편들을 고르면서 어떤 점에 중점을 두었나?

나의 감수성 및 지성을 뒤흔드는 단편들을 선정했으며, 짐 세퍼드가 쓴 "Sans Farine"처럼 철저하게 정서적으로 공격적인 작품을 발견하면, 나는 그 녀석을 꽉 붙잡고 절대 놔주지 않았다.

2. "예전에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 잡지가 있던 시절에는 단편소설이 대형 경기장을 관중으로 꽉 채우는 흥행물과도 같았다. 하지만 현재 단편소설은 다방을 꽉 채우기도 벅찬 처지다"라고 당신이 글을 쓴 바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진 것일까?

주요 잡지들은 단편소설 수록하는 것을 중단했는데, 그것은 "유명" 작가들 중 단편소설을 쓰고 있는 사람이 매우 적었기 때문이다. 다니엘 스틸과 넬슨 드밀 같이 인기있는 장편소설가들은 단편소설이라고 부를만한 것을 거의 안 쓴다... 인기있는 출판물 속에 읽을만한 단편소설들이 들어가지 않으니, 대다수 독자는 읽기 쉽고 강렬한 단편소설이 가져다주는 즐거움을 잊어버리고 말았다.

3. 독자들의 관심이 더욱 줄어든다고 가정한다면, 단편소설의 인기는 물 건너간 것인가?

단편소설의 자리를 장편소설 속 짧은 장(章)이 대신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제임스 페터슨과 로버트 파커의 책을 보라.

4. 널리 알려지진 않았어도 좋은 단편소설들을 출판하는 잡지를 몇 개 추천해주겠는가?

"Zoetrope"와 "Tin House"가 꾸준히 훌륭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5. 당신은 무엇을 집필하고 있는 중인가?

"A Very Tight Place"라는 작품. 장편소설은 아니고 조금 긴 단편이다. 나는 최근 들어 굉장히 많은 단편소설을 써오고 있다. 왜 그런진 나도 궁금한 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티븐 킹이 말하는 대중문화의 폭력성

뉴스 2007. 10. 10. 23:20 posted by 조재형

☞ 잡지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에 스티븐 킹이 쓴 칼럼 "A History of Violence"가 실렸습니다.

이 칼럼에서 스티븐 킹은 영화 등 미국 대중문화 속에 등장하는 허구의 폭력이 미국인들의 행동양식에(게다가 미국인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회의적인 태도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에 관한 논의가 진지하게 심사숙고해볼만한 문제인 것 같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킹은 개인적으로 그런 생각을 후다닥 해치워야 한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조디 포스터가 나오는 폭력영화 "브레이브 원"을 보러 빨리 극장에 가야하니까.

킹은 자신만의 폭력의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의 소설들에서는 대개 사망자수가 많고, 특히 그의 두 소설, "스탠드"와 "셀"에서는 거의 지구상의 전인류가 말살당하기도 했습니다. 킹은 농담 삼아 그것에 대한 변명을 합니다. 자신이 맨날 사람이 줄기차게 죽어나가는 소설만 쓴 것이 아니라, 때로는 죽은 사람이 살아돌아오는, 마음이 푸근해지는 소설들을 쓰기도 했었다고. 대개 살아돌아온 시체는 산 사람을 먹어치우려고 그런 거지만, 그런 사소한 걸로 트집 잡지 말자고. 어쨌든 기적은 기적 아니냐고.

대중문화의 폭력성에 따른 윤리적 문제는 상당히 정기적으로 신문의 특집기사로 다루어지고 있는데, 그것이 그렇게 중요하게 취급될 만한 문제라고 킹은 말합니다. 그가 평생동안 피범벅이 나오는 대중문화 작품들에 탐닉했던 것이 분명히 그를 당혹스럽게 하고 때로는 그를 역겹게도 한다고 합니다.

킹은 자신이 왜 "브레이브 원" 같은 폭력영화들에 흥미를 느끼는 지 이유를 모릅니다. 다만 그는 그런 영화들이 가장 끔찍한 두려움들과 충동들을 감정 체계로부터 안전하게 배출시키는 마음의 배수로 역할을 해주길 기대할 따름입니다.

흔히들 입바른 소리 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세상이 폭력에 물들어있으며, 그런 슬픈 현실을 언급하려는 영화들이 나쁜 예술품이라고 말합니다. 그들은 또한 (스티븐 킹이 엄청나게 좋아했던 영화이기도 한) 케빈 베이컨 주연의 폭력영화 "사형 선고(Death Sentence)" 같은 영화들을 본 극히 소수의 사람들이 법을 무시하고 자기들 맘대로 폭력을 행사하고픈 충동을 어쩔 수 없이 느낄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런 지적들은 가정을 수호하기 위한 완벽한 방법으로서(그와 아울러 정원에 자꾸만 침입하는 성가신 다람쥐들을 제거하는 데도 효율적인 방법으로서) 반자동 소총을 소지하는 것이 안성맞춤이라고 주장하는 미국 총기협회 옹호론자의 궤변과 극단적으로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고 킹은 말합니다. 그들 모두가 세상이 폭력으로 물들어있다는 데는 동의한다는 거지요. 총기 소지자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기를 신중하게 책임감 있게 다룰 수 있다는 주장을 합니다. 폭력적인 대중문화의 옹호론자들도 그와 똑같은 주장을 합니다.

스티븐 킹은 때로는 폭력적인 영화들이 불안정한 사람들한테 영향을 끼치는 수가 있다는 점을 인정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말합니다. (영화 "택시 드라이버"에 나온 조디 포스터를 보고 깊은 인상을 받은 존 힝클리라는 남자가 레이건 대통령한테 총을 쏜 적도 있으니까.) 어떤 사람들의 마음은, 그 위험한 마음들은 바짝 마른 인화성 물질과도 같습니다. 그릇된 R 등급 영화 속에 나온 정당한 폭력행위가 그런 불안정한 개인들이 필요로 하는 불꽃을 일으킬 수도 있는 것입니다. 게다가 미국이란 나라는 권총이 풍부하게 널려있기까지 하니까. 스티븐 킹은 버지니아 공대에서 32명을 살해한 조승희 사건을 예로 듭니다.

(영화 제목 마저도 폭력을 묵인하는 듯한) "브레이브 원" 같은 폭력영화들에 자신이 왜 흥미를 느끼는 지 이유를 모르겠다고, 다만 그런 영화들이 가장 끔찍한 두려움들과 충동들을 감정 체계로부터 안전하게 배출시키는 마음의 배수로 역할을 해주길 기대할 따름이라고 스티븐 킹은 거듭 말합니다. "카타르시스"라는 그리스 단어가 있는데, 킹은 자신의 폭력적인 창작물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그 단어를 여러 번 사용해왔지만, 그것을 전적으로 신뢰한 적은 한 번도 없다고 밝힙니다.

총싸움 영화들과 난도질 영화들이 우리 삶의 일부로 계속 남아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은 분명하고, 그것은 다음과 같은 우울한 생각을 암시합니다. "어쩌면 폭력에 대한 사랑은 인간 심성의 필수 요소이며, 우리의 더욱 선량한 자아로부터 떼어낼 수 없는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폭력에 대한 사랑은 과거에도 그랬듯이 미래의 대중문화에서도 지속적으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할 것입니다.

스티븐 킹은 이 칼럼이 올라온 인터넷 게시판에서 독자들끼리 의견을 말해보라고 권유합니다. 그런데 스티븐 킹은... 40분 뒤에 쇼를 즐기려 한답니다. "브레이브 원"에 나오는 조디 포스터가 나쁜 녀석들을 무자비하게 혼쭐내는 모습을 구경하러 극장에 갈 거니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스티븐 킹 단편집 "스켈레톤 크루"에 수록된 단편소설 "우유 배달부 1 : 아침 배달"을 각색해 만든 3D 단편 애니메이션을 감상해 보세요.


Livraisons matinales
~ì?? ì??í?´ ì??ë¡?ë??ë?¨ kristijan_r